경찰행정학과에서는 범죄 현상에 대한 이해 및 원인의 파악, 각종 범죄이론의 해석과 적용 등에 관한 연구, 범죄자에 대한 처우와 범죄자 사회 복귀에 관한 교도 행정 제도 등을 연구한다. 전공 분야는 경찰학, 범죄학, 형사법, 범죄 심리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이외의 사회과학 및 규범학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위 교과과정은 현재년도 현재학기 기준입니다.
다른 연도의 교과과정 자료는 우측 [교과과정 전체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高基福 / Go Gee Bok)
학사 | 동국대학교 |
---|---|
석사 | 동국대학교 대학원 |
박사 | 동국대학교 대학원 |
경력 |
|
(鄭容騎 / Chung, Yong-Ki)
학사 | 성균관대학교 |
---|---|
석사 | 성균관대학교 |
박사 | 성균관대학교 |
경력 |
|
(朴顯虎 / Park Hyeonho)
학사 | 경찰대학 |
---|---|
석사 | 영)University of Portsmouth |
박사 | 영)University of Portsmouth |
경력 |
|
(宋記福 / Song gibok)
학사 | 용인대학교 |
---|---|
석사 | 용인대학교 |
박사 | 용인대학교 |
경력 |
|
(白守原 / Beak Soowon)
학사 | 성균관대학교 |
---|---|
석사 | 부산대학교 |
박사 | 성균관대학교 |
경력 |
|
학수번호 | 460001B | 학점 | 3 |
---|---|---|---|
과목구분 | 기초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경찰학총론 | ||
설명 | 경찰행정의 본질, 경찰행정학의 발전과정, 각국의 경찰조직, 경찰인사행정, 경찰조직관리, 경찰재무관리 등 경찰행정학 전반에 관하여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시킴으로써 경찰행정학을 소개합니다. 경찰학개론은 경찰관련 시험의 필수과목입니다. |
학수번호 | 140029A | 학점 | 3 |
---|---|---|---|
과목구분 | 기초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법학개론 | ||
설명 | 법의 개념과 이념, 법의 존재형태, 법의 적용·해석과 그 효력, 법의 체계와 법계, 권리·의무와 법률관계, 법의 변동과 법치주의 등 기초적인 법 이론을 이해하고, 최고법인 헌법을 위시하여 각종 공법과 민법·상법 등과 같은 사법 및 노동법 등의 사회법을 망라하여 고찰한다. |
학수번호 | 460083A | 학점 | 3 |
---|---|---|---|
과목구분 | 기초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헌법 | ||
설명 | 헌법의 기본원리와 헌법정신 및 그에 내포된 민주주의의 정신을 헌법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합니다. 특히 헌법에 있어서의 기본권이 내포된 인권의 문제를 중심으로 그 구체적 내용과 현 사회에서의 실체운영을 다루며, 학설상의 논점을 중점적으로 강의합니다. 이 과목은 사법고시와 검찰, 법원, 경찰시험의 필수과목이다. |
학수번호 | 460003D | 학점 | 3 |
---|---|---|---|
과목구분 | 기초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범죄학총론 | ||
설명 | 범죄의 일반적인 증가경향과 광역화, 도시화, 전문화 현상에 대처할 수 있도록 범죄현상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원인의 이해, 범죄학 연구방법론, 범죄데이터의 이해와 해석 방법 등을 탐구한다. |
학수번호 | 460093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기본권론 | ||
설명 | 기본권론의 총론 과정 학습을 통해 기본권의 개념, 주체, 효력, 제한 및 경합을 학습하고, 기본권 각론의 내용인 자유권적 기본권과 사회적 기본권 등 다양한 기본권 유형을 학습한다. |
학수번호 | 460019D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형법총론1 | ||
설명 | 형법의 기본 사상과 학파 등을 고찰하고, 형법체계의 일반적 원리를 탐구한다. 어떠한 행위가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요건 하에서 범죄가 되고, 이러한 범죄에 대하여 어떠한 형벌을 부과할 것인지를 연구한다. 주요한 연구영역은 ① 형법의 기본 원리와 이론(형법의 의의·성격·기능, 죄형법정주의, 형법의 효력, 형법학파, 행위론), ② 구성요건(부작위범, 인과관계, 고의, 과실, 구성요건의 착오), ③ 위법성(정당행위, 정당방위, 긴급피난, 자구행위, 피해자의 승낙), ④ 책임론(형사미성년자, 정신장애, 강요된 행위, 위법성의 착오)이다. |
학수번호 | 460027C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경찰행정법 | ||
설명 | 경찰의 개념, 경찰제도, 경찰의 종류, 경찰작용, 경찰조직 등에 관련된 경찰행정법규의 이해와 실무에 적용하는 기술을 습득시킨다. |
학수번호 | 460037C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산업보안학 | ||
설명 | [2025] 조직의 관리 및 경영 관점에서 보유한 산업자산 보호와 손실 방지 활동을 추진하기 위한 민간경비 및 산업보안 법제도, 산업보안 경영, 산업보안 범죄심리, 산업보안 기술 등의 융복합적인 학문을 연구함 [2014] 증가하는 치안수요와 국민의 안전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면서 민간부문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여 범죄를 예방하는 민간경비제도가 대두되었다. 선진외국에서는 오래전부터 공경비(public security)와 더불어 민간경비(private security)가 발달되어 왔으며 이러한 사회적·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학문적 연구가 깊이있게 연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민간경비론 강좌에서는 민간경비업의 현황, 관련법규, 인력경비와 기계경비시스템, 특수경비원제도 및 경비지도사제도 등을 소개하고, 민간경비의 건전 육성과 경찰의 역할 등에 관하여 외국의 사례와 비교하여 고찰한다. |
학수번호 | 460069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경찰학각론 | ||
설명 | 경찰행정의 본질, 경찰행정학의 발전과정, 각국의 경찰조직, 경찰인사행정, 경찰조직관리, 경찰재무관리 등 경찰행정학 전반에 관하여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시킴으로써 경찰행정학을 소개합니다. 경찰학개론은 경찰관련 시험의 필수과목이다. |
학수번호 | 460099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행정학 | ||
설명 | 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 및 행정을 둘러싼 환경을 중심으로 행정학의 패러다임이나 행정가치의 논의를 통해 행정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학습한다. |
학수번호 | 460029C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형사소송법 | ||
설명 | 형사절차에 관한 기본 원리와 구조를 연구하는데 소송의 주체, 수사 및 공판절차, 증거법에 관하여 현행법의 해석을 중심으로 검토하게 된다. 그리고 현행법상의 상소제도에 관한 이론과 상소절차, 비상 구제 절차, 특별형사절차, 판결의 집행에 대한 연구도 포함된다. |
학수번호 | 460033C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교정학 | ||
설명 | 교도행정은 형벌집행의 한 분야이다. 인간 사회에서 끊임없이 문제가 되고 있는 범죄와 그 대책으로서의 형사정책에 관하여 개요를 설명하고, 형벌중 자유형의 집행인 행형관계 혹은 교정행정에 관하여 그 연혁, 목적, 근거법령, 현행운영 및 교정시설 내에서의 수용자에 대한 처우 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형벌의 전제조건인 범죄의 원인에 관한 원인에 개략에 대해서도 설명함으로서 범죄, 형벌 및 교정의 관계를 언급한다. |
학수번호 | 460067C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형법총론2 | ||
설명 | 형법총론1에 연속되는 강의이다. 이 강의의 주된 내용은, ① 미수범, 중지미수, 불능미수, 음모와 예비, ② 공범론 즉 공동정범, 간접정범, 교사, 방조, 공범과 신분, ③ 상상적 경합, 실체적 경합 등, ④ 형벌론 즉 형벌의 종류, 선고유예, 집행유예, 가석방 등, ⑤ 보안처분 이다. |
학수번호 | 460089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범죄예방론 | ||
설명 | 범죄예방의 기초적인 이론들과 경찰의 아동청소년 범죄예방, 범죄예방환경설계, 민간경비, 순찰, 자율방범, 자치경찰의 범죄예방 등 각종 범죄예방 정책과 이슈를 배운다. 생활안전에서 범죄예방의 기능과 전략 및 프로그램의 유형과 효과, 장단점 등을 학습한다. |
학수번호 | 460095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경찰수사론 | ||
설명 | 이 교과목은 범죄수사의 기본원칙, 초동수사, 수사방법 등 수사활동의 기초와 본질, 인권보호, 수사서류작성, 수사행정 등 수사절차를 연구한다. |
학수번호 | 460023F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형법각론1 | ||
설명 | 형법총론의 이해를 바탕으로 형법상 범죄를 개인적 법익에 관한 죄, 사회적 법익에 관한 죄, 국가적 법익에 관한 죄로 유형화하여 각 죄에 대해 구성요건과 그에 대한 형벌을 고찰한다. 각칙의 각 구성요건을 중심으로 개별범죄의 성립요건 및 그에 따른 형벌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형법총론에서 다룬 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인 해석과 적용을 도모하여 실제 형사사례에 대한 문제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학수번호 | 460041D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범죄학각론 | ||
설명 | 범죄 발생의 각종 사회학적, 심리학적, 생물학적 원인 이론의 이해, 각종 범죄이론의 검증, 예방 및 대책론 등을 다룬다. |
학수번호 | 460075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형사증거법론 | ||
설명 | 형사소송절차에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형사증거와 관련된 분야의 연구를 목표로 한다. 증거의 개념과 종류, 증거의 기본원칙, 소송절차에서 증거의 적용방식 등을 다루게 된다. |
학수번호 | 460077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범죄피해자학 | ||
설명 | 범죄피해와 관련된 기초이론과 범죄피해자의 특성, 범죄발생에 있어서 피해자의 책임과 역할, 형사사법제도에 있어서 피해자의 보호 및 피해자보상제도 등을 연구한다. |
학수번호 | 460085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경찰실습 | ||
설명 | 대부분 경찰공무원을 희망하는 학과로서 졸업 전에 현장 실무관서인 경찰서 등에서 현장실습을 하는 과목이다. 약 8시간의 현장에서의 이론수업과 18시간의 지구대, 파출소, 생활안전, 교통, 수사, 여성청소년, 형사 등의 부서에서의 현장 OJT 실습을 받는다. |
학수번호 | 460101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특수범죄론 | ||
설명 | 특수범죄론은 스토킹범죄, 마약류 범죄, 폭력범죄, 지능형 범죄, 환경범죄 등 특수한 범죄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
학수번호 | 460024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형법각론2 | ||
설명 | 형법총론의 이해를 바탕으로 형법상 범죄를 개인적 법익에 관한 죄, 사회적 법익에 관한 죄, 국가적 법익에 관한 죄로 유형화하여 각 죄에 대해 구성요건과 그에 대한 형벌을 고찰한다. 각칙의 각 구성요건을 중심으로 개별범죄의 성립요건 및 그에 따른 형벌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형법총론에서 다룬 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인 해석과 적용을 도모하여 실제 형사사례에 대한 문제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학수번호 | 460059C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범죄심리학 | ||
설명 | 범죄행위에 대한 원인규명의 다양한 시각을 이해하고 특별히 심리학적인 관점에 초점을 두고 범죄인의 심리적인 메커니즘을 연구한 후 각종 범죄들의 심리분석을 시도하며, 실제 사건 및 영화에 나타난 범죄자들의 심리적-지리적 프로파일링, 이를 통한 효과적인 범죄통제에 관해 연구 및 토의이다. |
학수번호 | 460081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형사정책 | ||
설명 | 각종 범죄의 원인과 현상을 분석하고, 그 성과를 토대로 하여 형벌론 등 다양한 범죄방지대책을 연구한다. |
학수번호 | 460091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AI와범죄 | ||
설명 | 이 교과목은 인공지능의 급격한 고도화에 따른 미래사회의 새로운 범죄양상의 변화 및 새로운 치안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경찰활동을 학습하며, 이를 통해 인공지능 시대의 경찰활동의 변화 및 새로운 범죄에 대한 해결방안을 연구한다. |
학수번호 | 460097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경찰인권론 | ||
설명 | 인권의 개념, 인권의 형태, 역사적 발전과정과 여러 인권 침해 상황에 대해 학습하고, 사회에 나타나는 경찰 인권의 문제가 되는 유형을 집중 분석한다. |
학수번호 | 460095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경찰수사론 | ||
설명 | 이 교과목은 범죄수사의 기본원칙, 초동수사, 수사방법 등 수사활동의 기초와 본질, 인권보호, 수사서류작성, 수사행정 등 수사절차를 연구한다. |
학수번호 | 460023F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형법각론1 | ||
설명 | 형법총론의 이해를 바탕으로 형법상 범죄를 개인적 법익에 관한 죄, 사회적 법익에 관한 죄, 국가적 법익에 관한 죄로 유형화하여 각 죄에 대해 구성요건과 그에 대한 형벌을 고찰한다. 각칙의 각 구성요건을 중심으로 개별범죄의 성립요건 및 그에 따른 형벌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형법총론에서 다룬 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인 해석과 적용을 도모하여 실제 형사사례에 대한 문제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학수번호 | 460041D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범죄학각론 | ||
설명 | 범죄 발생의 각종 사회학적, 심리학적, 생물학적 원인 이론의 이해, 각종 범죄이론의 검증, 예방 및 대책론 등을 다룬다. |
학수번호 | 460075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형사증거법론 | ||
설명 | 형사소송절차에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형사증거와 관련된 분야의 연구를 목표로 한다. 증거의 개념과 종류, 증거의 기본원칙, 소송절차에서 증거의 적용방식 등을 다루게 된다. |
학수번호 | 460077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범죄피해자학 | ||
설명 | 범죄피해와 관련된 기초이론과 범죄피해자의 특성, 범죄발생에 있어서 피해자의 책임과 역할, 형사사법제도에 있어서 피해자의 보호 및 피해자보상제도 등을 연구한다. |
학수번호 | 460085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경찰실습 | ||
설명 | 대부분 경찰공무원을 희망하는 학과로서 졸업 전에 현장 실무관서인 경찰서 등에서 현장실습을 하는 과목이다. 약 8시간의 현장에서의 이론수업과 18시간의 지구대, 파출소, 생활안전, 교통, 수사, 여성청소년, 형사 등의 부서에서의 현장 OJT 실습을 받는다. |
학수번호 | 460101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특수범죄론 | ||
설명 | 특수범죄론은 스토킹범죄, 마약류 범죄, 폭력범죄, 지능형 범죄, 환경범죄 등 특수한 범죄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
학수번호 | 460097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경찰인권론 | ||
설명 | 인권의 개념, 인권의 형태, 역사적 발전과정과 여러 인권 침해 상황에 대해 학습하고, 사회에 나타나는 경찰 인권의 문제가 되는 유형을 집중 분석한다. |
학수번호 | 460091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AI와범죄 | ||
설명 | 이 교과목은 인공지능의 급격한 고도화에 따른 미래사회의 새로운 범죄양상의 변화 및 새로운 치안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경찰활동을 학습하며, 이를 통해 인공지능 시대의 경찰활동의 변화 및 새로운 범죄에 대한 해결방안을 연구한다. |
학수번호 | 460081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형사정책 | ||
설명 | 각종 범죄의 원인과 현상을 분석하고, 그 성과를 토대로 하여 형벌론 등 다양한 범죄방지대책을 연구한다. |
학수번호 | 460059C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범죄심리학 | ||
설명 | 범죄행위에 대한 원인규명의 다양한 시각을 이해하고 특별히 심리학적인 관점에 초점을 두고 범죄인의 심리적인 메커니즘을 연구한 후 각종 범죄들의 심리분석을 시도하며, 실제 사건 및 영화에 나타난 범죄자들의 심리적-지리적 프로파일링, 이를 통한 효과적인 범죄통제에 관해 연구 및 토의이다. |
학수번호 | 460024A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경찰행정학과(주) | ||
교과목 | 형법각론2 | ||
설명 | 형법총론의 이해를 바탕으로 형법상 범죄를 개인적 법익에 관한 죄, 사회적 법익에 관한 죄, 국가적 법익에 관한 죄로 유형화하여 각 죄에 대해 구성요건과 그에 대한 형벌을 고찰한다. 각칙의 각 구성요건을 중심으로 개별범죄의 성립요건 및 그에 따른 형벌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형법총론에서 다룬 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인 해석과 적용을 도모하여 실제 형사사례에 대한 문제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 교육과정년도를 선택하시면 연도별로 교과과정 검색이 가능합니다
이수구분 | 학년 | 학기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주간수업시수 | |
---|---|---|---|---|---|---|---|
이론 | 실습 | ||||||
기초전공 | 1 | 1 | 460001B | 경찰학총론 | 3 | 3 | 0 |
기초전공 | 1 | 1 | 140029A | 법학개론 | 3 | 3 | 0 |
기초전공 | 1 | 2 | 460083A | 헌법 | 3 | 3 | 0 |
기초전공 | 1 | 2 | 460003D | 범죄학총론 | 3 | 3 | 0 |
전공 | 2 | 1 | 460093A | 기본권론 | 3 | 3 | 0 |
전공 | 2 | 1 | 460019D | 형법총론1 | 3 | 3 | 0 |
전공 | 2 | 1 | 460027C | 경찰행정법 | 3 | 3 | 0 |
전공 | 2 | 1 | 460037C | 산업보안학 | 3 | 3 | 0 |
전공 | 2 | 1 | 460069A | 경찰학각론 | 3 | 3 | 0 |
전공 | 2 | 2 | 460099A | 행정학 | 3 | 3 | 0 |
전공 | 2 | 2 | 460029C | 형사소송법 | 3 | 3 | 0 |
전공 | 2 | 2 | 460033C | 교정학 | 3 | 3 | 0 |
전공 | 2 | 2 | 460067C | 형법총론2 | 3 | 3 | 0 |
전공 | 2 | 2 | 460089A | 범죄예방론 | 3 | 3 | 0 |
전공 | 3 | 1 | 460095A | 경찰수사론 | 3 | 3 | 0 |
전공 | 3 | 1 | 460023F | 형법각론1 | 3 | 3 | 0 |
전공 | 3 | 1 | 460041D | 범죄학각론 | 3 | 3 | 0 |
전공 | 3 | 1 | 460075A | 형사증거법론 | 3 | 3 | 0 |
전공 | 3 | 1 | 460077A | 범죄피해자학 | 3 | 3 | 0 |
전공 | 3 | 1 | 460085A | 경찰실습 | 2 | 0 | 0 |
전공 | 3 | 2 | 460101A | 특수범죄론 | 3 | 3 | 0 |
전공 | 3 | 2 | 460024A | 형법각론2 | 3 | 3 | 0 |
전공 | 3 | 2 | 460059C | 범죄심리학 | 3 | 3 | 0 |
전공 | 3 | 2 | 460081A | 형사정책 | 3 | 3 | 0 |
전공 | 3 | 2 | 460091A | AI와범죄 | 3 | 3 | 0 |
전공 | 3 | 2 | 460097A | 경찰인권론 | 3 | 3 | 0 |
전공 | 4 | 1 | 460095A | 경찰수사론 | 3 | 3 | 0 |
전공 | 4 | 1 | 460023F | 형법각론1 | 3 | 3 | 0 |
전공 | 4 | 1 | 460041D | 범죄학각론 | 3 | 3 | 0 |
전공 | 4 | 1 | 460075A | 형사증거법론 | 3 | 3 | 0 |
전공 | 4 | 1 | 460077A | 범죄피해자학 | 3 | 3 | 0 |
전공 | 4 | 1 | 460085A | 경찰실습 | 2 | 0 | 0 |
전공 | 4 | 2 | 460101A | 특수범죄론 | 3 | 3 | 0 |
전공 | 4 | 2 | 460097A | 경찰인권론 | 3 | 3 | 0 |
전공 | 4 | 2 | 460091A | AI와범죄 | 3 | 3 | 0 |
전공 | 4 | 2 | 460081A | 형사정책 | 3 | 3 | 0 |
전공 | 4 | 2 | 460059C | 범죄심리학 | 3 | 3 | 0 |
전공 | 4 | 2 | 460024A | 형법각론2 | 3 | 3 | 0 |
용인대학교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자동수집 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용인대학교 홈페이지에 게재된 모든 내용은 저작권법에 의해서 보호됨을 알려드립니다.
용인대학교 발전기금 약정서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24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은 후 약정을 접수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목적
발전기금 약정서에 기재되는 개인정보와 기부금 납입사항은 법인세법 제24조 제1항에 따른 기부금 영수증 발급에 사용됩니다.
수집하려는 개인정보의 항목
(1) 필수항목: 성명(기업명), 사업자등록번호, 연락처(휴대전화번호 또는 자택 전화번호 또는 직장전화번호), 본교와의 관계, 동문(재학생)의 입학년도ㆍ대학(원), 기금종류, 약정금액, 기부방법, 주소
(2) 선택항목: 위 필수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에 관한 사항
용인대학교 대외협력팀은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며, 다음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1) 국세청(연말 소득/세액공제)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발전기금 약정과 관련한 개인정보 수집ㆍ이용에 관해서는 법인세법 제24조 제1항에 근거 기부자의 동의일로부터 삭제 요청이 있을 때까지 위 이용목적을 위하여 보유ㆍ이용됩니다.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다는 사실 및 동의 거부에 따른 불이익 내용
(1)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의 수집ㆍ이용목적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2) 다만, 동의 거부 시에는 기부금 약정서 작성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기부자 예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